1. 개요
'지리의 힘(The Power of Geography)'의 저자 팀 마샬(Tim Marshall) 국가의 지리적 특징이 국가의
운영방법과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지 현실적인 내용을 통해서 쉽게 풀어쓴 책입니다. 이 책에서는 국가의
발전과정을 산맥, 해양, 지리, 강(수원) 등 지리적 특성을 데이터화 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2. 지리의 힘 줄거리
지리의 힘은 현재의 대표적인 국가들의 지리적 특성과 국가들의 지리적 특성을 인식의 변화를 일화를
통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첫번째 특성으로 '지리적 본질의 변화'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지역으로 중국이 있습니다. 중국은 고대의 지리적
특성인 험준한 산맥과 외세의 침입을 막기위한 만리장성 건설 그리고 미얀마 밀림으로 인하여 천혜의 요새를 통해
안정적인 제국을 유지했습니다. 근대화를 거치면서 소수민족의 자치구 독립 문제가 발생하면서 지리에 대한 인식
또한 변화하게 되었습니다.
대표적인 지리적인 분쟁지역으로 티베트와 신장-위구르 소수민족 자치구 분쟁이 있습니다. 티베트는 다른 국가들에서
볼 때에는 인권의 문제로 접근하고 있으나 실제로 중국은 티베트를 지정학의 관점으로 보고 있으며 티베트의 독립은
인구학, 지정학 관점에서 소수민족의 바람이 이루어질 수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중국의 소수민족 자치구는 지정학 안보
및 전략적 목적에 맞춰 운영이 되고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두번째 특성으로 '지리의 영향력'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지역으로 러시아와 유럽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러시아는 지리적으로 북유럽과 국경을 맞대고 있습니다. 지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전쟁과 관련된 역사가 지속되었음을
지리적 환경을 통해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21세기로 넘어오면서 천연가스라는 자원을 새로운 무기로
국가의 안보를 지키고 있음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마지막 특성으로 '지리의 변화'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국가는 마찬가지로 러시아입니다. 러시아는 겨울이
되면 항구가 모두 얼어 부동항이 없는 국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후 변화로 북국의 빙하가 녹으면서 새로운 기회가
러시아에게 새로운 기회가 생기고 있음을 저자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여러 국가의 사례를 지리, 산맥, 강의 구조에 따라 국가의 정책이 변함을 사례를 통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3. 저자 소개
팀 마샬(Tim Marshall)은 외교 및 국제 정치를 전문으로 기사 및 글을 적는 언론인 겸 작가입니다. 그는 1980년 부터
기자로 일하며 외교와 국제 정치를 주제로 기사를 적었습니다. 그리고 많은 뉴스 프로그램에서 객원 해설가로 활동 했습니다.
팀 마샬은 Sky News에서 24년간 근무하면서 30개국을 방문하여 언론인으로서 뉴스를 보도하였으며 12개의 전쟁사건을
보도한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보도 경험과 지리학, 정치경제학 지식을 바탕으로 '지리의 죄수(Prisoner of Geography)',
'지리의 힘(The Power of Geography)' 책을 집필하며 많은 독자들에게 호평을 받았습니다.
4. 이 책을 읽고 느낀점
이 책을 읽고 다른국가의 정책과 인식을 이해하는데 새로운 시야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전에는 국가를 볼 때 지리적
기후적 관점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국가를 이해 했었습니다. 우리가 아는 것보다 국가를 이해하는데 생각보다 많은 지리적,
기후적 특성을 고려해야됨을 확인 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이 책을 읽으면서 지리적 특성도 새로웠지만 지리적 특성을 통해 국제정치적 관점도 새롭게 느낀점이 많았습니다.
국제정치는 지리적 특성과 함께 법과 규칙이 없는 힘의 원리를 통해 동작함을 깨달았습니다. 그리고 책을 읽으면서 어려웠던
내용은 예시로 설명한 지역의 지정학적, 역사적 배경지식과 국가의 사회적 분위기를 파악하지 못하면 저자가 전달하려고 하는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웠던 점이 많았습니다.
이 책을 읽고 예시를 확인하면서 21세기 우리들은 얼마나 복잡하고 다양한 영향을 받고, 우리에게 다른 나라를 잘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시야를 가지게 해주는 점에서 매우 유익한 책이라고 생각했습니다.